오늘은 소흉근(작은 가슴근, pectoralis mino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소흉근은 저번 시간에 포스팅한 대흉근의 밑에 위치해있습니다. 같은 흉근이라 비슷할 것 같지만 차이가 있습니다. 

알아보겠습니다!

 -기시(이는곳, origin) - 제 3~5 늑골(갈비뼈, rib)

 

 

 

 -정지(닿는 곳, insertion) - 오구돌기(부리돌기, coracoid process)의 내측면

 

 

 

 

 -작용(actions): 견갑골의 하강(내림) 전인(내밈), 제3~5 늑골(갈비뼈, rib) 올림

 

 

소흉근은 견갑골의 부리 돌기에 강하게 붙어있으며 가슴 우리 앞에서 견갑골을 위한 밧줄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소흉근은 몸무게나 외력이 팔에 놓일 때 어깨를 앞쪽으로 안정시켜주며 팔로 본인의 몸을 푸시업 하면서 들어 올릴 때 몸통에 대해 견갑골을 고정시키기 위해 전거근과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견갑골 고정은 의자에서 몸을 들어 올리거나 바닥에서 팔굽혀 펴기를 할 때 필요하며 회전근개 중 하나인 견갑하근과 함께 팔 이음 뼈를 동적으로 안정시키고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 다른 기능으로는 이차적인 호흡근으로 작용합니다. 어깨를 고정하고 제3~5 늑골을 올리며, 이 근육은 가슴 우리를 팽창시키고 가슴 안 공간을 늘려줍니다. 이 기능 시 소흉근은 횡격막,  외 늑간근, 사각근, 전거근, 후거 근, 상후 거근, 그리고 요방형근과 함께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이 모든 근육들은 가슴 우리에 부착부위를 가지고 호흡곤란 중에 가슴 팽창을 위해 동원되는 근육들입니다. 특히, 상흉부의 흉식호흡에 보조근으로 소흉근이 적극적으로 관여하는데 소흉근은 안정적으로 숨 쉴 때는 거의 반응하지 않으며, 아주 큰 흡기에서 보조근으로 관여합니다.

둥근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

소흉근의 문제로 자세적인 문제가 나타나기 시작하면 둥근어깨 상완 골도의 축 이동 더 나아가서는 흉추의 후만 그다음은 경추와 골반의 문제까지 여러 가지 많은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습니다. 즉 안 좋은 자세가 미치를 영향은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최근 현대사회의 문제로 많이 나타나는 자세적인 요인으로 볼때 소흉근의 긴장과 과사용은 둥근 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의 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소흉근은 컴퓨터 작업, 운전, 밀기, 그리고 들어 올리기와 같은 몸 앞쪽에서 반복적인 활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기 때문인데요. 이 소흉근의 짧아지면 오구 돌기 부분이 앞으로 당겨져서 견갑골의 전인 상태가 되고 이때 상완은 둥근 어깨의 형태로 변화하며 상완골 두는 내회전의 우세로 인해 상완 골도 중심축이 이동할 수도 있습니다. 소흉근의 단축은 좋이 않은 상황을 많이 야기하는데 위치적인 특징으로 인해 혈관과 신경의 폐색을 일으키며, 견갑골의 움직임을 제한해서 견갑골과 상완골의 균형적인 움직임을 망가뜨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견관절의 완전 굴곡과 외전, 외회전을 제한한다. 이럴 시 나타나는 자세가 보통 둥근 어깨(라운드 숄더  round shoulder)이며, 또한 이때 견갑골의 하각이 들리는  scacpuar tipping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통증의 양상

소흉근의 근막통증증후근을 알아보면 위 사진과 같다. 보통 X로 표시된 곳에 통증유발점(트리거 포인트 trigger point)이 많이 나타나며(물론 치료사는 손으로 촉진하여 잡아내는 것이 좋다.) 방사통은 빨간색으로 나타내었다.

소흉근의 팔의 뒤로뻗거나 올리기가 힘들며 어깨 앞쪽에 쑤시는 통증이 나타날수있는데 이는 소흉근의 긴장과 어깨의 전인으로 견갑골과 상완골의 위치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 위치에서 견관절 거상 시 어깨 전면에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 다른 통증 양상으로는 숨을 크게 들이마시면 가슴이 따끔따끔하고 팔과 손가락이 저릴수있다. 이는 위에서 언급한 위치적인 특징이 한몫하는데 오구돌기에 붙은 소흉근의 건 아래로 액와 통 맥과, 상완신경총의 구조물들이 빠져나가기 때문이다. 소흉근이 심하게 단축되면 근육 폐색으로 인해 보통 상완, 전완 내측과 3~5번째 손가락에 통증과 저리는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또한 액와 동맥의 연결 분지가 손목의 요골동맥에까지 이르게 되어 소흉근의 단축성 긴장은 동맥을 압박하여 혈관 소실로 나타나고 이는 손이 차가워지거나 동맥의 수축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reference

 

기능해부학

뉴만

www.sportsinjurybulletin.com/

 

+ Recent posts